고바야시 다이고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고바야시 다이고는 은퇴한 일본의 축구 선수로, 미드필더로 활약했다. 시미즈 상업고등학교 졸업 후 도쿄 베르디 1969에 입단하여 J리그에서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 이후 오미야 아르디자, 스타베크, 이라클리스 테살로니키, 시미즈 에스펄스, 밴쿠버 화이트캡스, 뉴잉글랜드 레볼루션, 라스베이거스 라이츠 FC, 버밍엄 레지온 FC 등 여러 클럽에서 뛰었다. 2006년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에 발탁되어 A매치 1경기에 출전했으며, 2022년 선수 생활을 마감하고 2023년부터 파리 생제르맹 아카데미 JAPAN의 테크니컬 디렉터로 활동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스타베크 포트발의 축구 선수 - 마르쿠스 닐손
마르쿠스 닐손은 스웨덴의 축구 선수로, 2011년 스웨덴 국가대표팀에서 데뷔하여 수비수로 활동했으며 헬싱보리 IF를 포함한 여러 클럽에서 선수 생활을 했고, 2018년에는 에스킬스민네 IF에서 코치 보좌와 선수 활동을 병행했다. - 스타베크 포트발의 축구 선수 - 알렉스 니멜리
알렉스 니멜리는 라이베리아와 카메룬에서 선수 경력을 시작하여 맨체스터 시티 FC에서 프리미어 리그 데뷔전을 치렀으며, 잉글랜드 U-20 대표팀과 라이베리아 대표팀으로 활동했고, 음주운전으로 벌금과 면허 정지 처분을 받았다. - 이라클리스 테살로니키 FC의 축구 선수 - 주세페 시뇨리
이탈리아의 전 축구 선수 주세페 시뇨리는 세리에 A 득점왕을 세 차례 수상하고 세리에 A 올해의 선수상을 수상하는 등 20년 이상 세리에 A에서 활약한 스트라이커로, 이탈리아 국가대표팀으로도 활동했으며 은퇴 후에는 축구 해설가로 활동하고 있다. - 이라클리스 테살로니키 FC의 축구 선수 - 파나요티스 코네
파나요티스 코네는 알바니아 태생의 그리스 은퇴 축구 선수로, 공격형 미드필더로 활약하며 여러 유럽 클럽과 그리스 국가대표팀에서 뛰어난 기술과 득점 능력을 보여주었다. - 뉴잉글랜드 레벌루션의 축구 선수 - 케이 카마라
시에라리온 출신의 축구 선수 케이 카마라는 공격수로 뛰며 MLS에서 다양한 기록을 세웠고, 국가대표팀에서도 활약하며 아프리카 네이션스컵 진출에 기여했다. - 뉴잉글랜드 레벌루션의 축구 선수 - 클린트 뎀프시
클린트 뎀프시는 공격과 미드필더를 소화하며 미국 축구 국가대표팀 역대 최다 득점 공동 1위, 풀럼 FC 프리미어 리그 두 자릿수 득점 등 뛰어난 활약을 보인 미국의 은퇴한 축구 선수이다.
고바야시 다이고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이름 | 고바야시 다이고 |
원어 이름 | 小林 大悟 |
로마자 표기 | KOBAYASHI Daigo |
출생일 | 1983년 2월 19일 |
출생지 | 시즈오카현 후지시 |
신장 | 1.78m |
포지션 | 미드필더 |
利き발 | 오른발 |
클럽 경력 | |
유소년 클럽 | 시미즈 상업 고등학교 (1998-2000) |
클럽 | 도쿄 베르디 (2001-2005) - 104경기 4골 오미야 아르디자 (2006-2009) - 90경기 14골 스타베크 (loan) (2009) - 29경기 8골 이라클리스 (2010) - 14경기 0골 시미즈 에스펄스 (2011-2012) - 29경기 0골 밴쿠버 화이트캡스 FC (2013) - 30경기 2골 뉴잉글랜드 레벌루션 (2014-2017) - 94경기 2골 라스베이거스 라이츠 (2018) - 32경기 4골 버밍햄 리전 (2019-2021) - 41경기 0골 |
통산 출장 및 득점 | 463경기 34골 |
국가대표 경력 | |
청소년 국가대표 | 일본 U-20 (2003) - 4경기 0골 |
국가대표 | 일본 (2006) - 1경기 0골 |
수상 내역 | |
팀 | 도쿄 베르디 |
대회 | 천황배 (2004) |
팀 | 시미즈 에스펄스 |
대회 | J리그 컵 준우승 (2012) |
대회 | AFC U-19 챔피언십 |
결과 | 준우승 (2002) |
2. 경력
시즈오카 시립 시미즈 상업고등학교 시절부터 주목받았으며, 졸업 후 2001년 도쿄 베르디 1969에 입단하며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1] 도쿄 베르디에서 주축 선수로 활약하며 2004년 천황배와 2005년 일본 슈퍼컵 우승에 기여했으나, 팀의 J2리그 강등 후 2006년 오미야 아르디자로 이적했다.[1][2] 오미야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2006년 A대표팀에 발탁되어 8월 9일 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경기에서 데뷔전을 치렀다.[12][13][21]
2009년 노르웨이의 스타베크로 임대 이적하며 일본인 최초로 노르웨이 리그에서 뛰었고,[3][26] 이후 2010년 그리스의 이라클리스 1908 테살로니키 FC로 이적했다.[5] 2011년 시미즈 에스펄스로 이적하며 J리그에 복귀했으나, 허리 부상 등으로 어려움을 겪었다.[27]
2013년 미국 메이저 리그 사커(MLS)의 밴쿠버 화이트캡스 FC로 이적하며 다시 해외 무대에 진출했고,[28] 이후 뉴잉글랜드 레볼루션, 라스베이거스 라이츠 FC, 버밍햄 레기온 FC 등 미국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7][9][10]
청소년 대표 시절에는 2002년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과 2003년 FIFA U-20 월드컵 출전 경력이 있다.[22]
2022년 현역에서 은퇴했으며, 2023년 파리 생제르맹 아카데미 JAPAN의 테크니컬 디렉터로 취임했다.[34]
2. 1. 유소년 시절
기간 | 소속 |
---|---|
1988년 ~ 1994년 | 이와마쓰 축구 스포츠 소년단 |
1995년 ~ 1997년 | 도카이 대학 부속 제1중학교 |
1998년 ~ 2000년 | 시즈오카 시립 시미즈 상업고등학교 |
시미즈 상업고등학교 재학 시절부터 사노 유야와 함께 주목받는 유망주였다. 2002년에는 청소년 대표로 선발되어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에 기여했으며, 이듬해인 2003년에는 FIFA U-20 월드컵에 출전했다[22]. 고등학교 졸업 후 도쿄 베르디 1969에 입단하며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2. 2. 프로 시절
일본 시미즈 상업고등학교를 졸업하고 2001년 도쿄 베르디 1969에 입단하며 프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1] 입단 이듬해부터 팀의 주축 선수로 자리 잡았으며, 2004년에는 천황배 우승, 2005년에는 일본 슈퍼컵 우승에 기여했다.[1] 또한 2002년 청소년 대표로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 준우승을 경험했고, 2003년에는 FIFA U-20 월드컵에 출전했다.[22]2005년 말, 소속팀 도쿄 베르디가 J2리그로 강등된 후 구단 운영에 대한 불신 등으로 인해 2006년 오미야 아르디자로 이적했다.[2][23] 오미야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2006년 이비차 오심 감독이 이끄는 A대표팀에 처음 발탁되어 8월 9일 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경기에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21]
2009년에는 노르웨이 1부 리그의 스타베크로 임대 이적하며 일본인 최초로 노르웨이 리그에서 뛰게 되었다.[26][3] 스타베크에서 한 시즌을 보낸 후, 2010년 그리스 수페르리가 엘라다의 이라클리스 1908 테살로니키 FC로 자유 이적했다.[5]
약 2년간의 유럽 생활을 마치고 2011년 시미즈 에스펄스로 이적하며 J리그로 복귀했다. 시미즈에서는 두 시즌 동안 활약했으며, 2013년 미국 메이저 리그 사커(MLS)의 밴쿠버 화이트캡스 FC로 이적하며 다시 해외로 진출했다.[28] 이후 뉴잉글랜드 레볼루션 (2014-2017), USL 챔피언십의 라스베이거스 라이츠 FC (2018), 버밍햄 레기온 FC (2019-2021) 등 미국 리그에서 선수 생활을 이어갔다.[7][9][10][33]
2022년 현역 은퇴를 선언했으며, 2023년에는 파리 생제르맹 아카데미 JAPAN의 테크니컬 디렉터로 취임하여 지도자로서 활동을 시작했다.[34]
'''프로 구단 경력'''
- 2001년–2005년: 도쿄 베르디 1969
- 2006년–2009년: 오미야 아르디자
- * 2009년: 스타베크 (임대)
- 2010년: 이라클리스 1908 테살로니키 FC
- 2011년–2012년: 시미즈 에스펄스
- 2013년: 밴쿠버 화이트캡스 FC
- 2014년–2017년: 뉴잉글랜드 레볼루션
- 2018년: 라스베이거스 라이츠 FC
- 2019년–2021년: 버밍햄 레기온 FC
2. 2. 1. 도쿄 베르디 (2001-2005)
시미즈 상업고등학교 시절부터 사노 유야와 함께 주목받았으며, 고등학교 졸업 후 2001년 도쿄 베르디 1969에 입단하며 프로 경력을 시작했다.[1] 입단 다음 해인 2002년부터 팀의 주축 선수로 빠르게 자리 잡았다.2002년에는 청소년 대표로 발탁되어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준우승을 경험했고, 이듬해인 2003년에는 FIFA U-20 월드컵에 출전하였다.[22] 2004년에는 제84회 천황배 우승의 주역으로 활약했으며[1], 2005년에는 일본 슈퍼컵 우승컵을 들어 올렸다.[1]
그러나 2005년 시즌 도쿄 베르디는 J2리그로 강등되었다.[1] 강등이 확정된 직후 고바야시는 개인 블로그를 통해 "반드시 1년 안에 J1리그로 복귀하겠다"며 팀 잔류 및 승격 의지를 보였다. 하지만 이후 구단 프런트가 기존 선수들을 대거 방출하거나 이적시키는 등 팀 개편을 진행하자, 이에 대해 "함께 싸워왔던 선수들이 해고되거나 팀을 떠나야 하는 상황이 되어, 우리가 팀에 정말 필요한 존재인지 알 수 없게 되었다"며 구단 운영에 대한 불신감을 드러내며 이적을 고민하게 되었다.[23] 결국 2006년 1월, 오미야 아르디자로의 이적을 결심했다. 당시 팀의 주장이었던 야마다 다쿠야 역시 비슷한 이유로 세레소 오사카로 이적했다.[2][23] 고바야시는 이적 발표 후 자신의 블로그에 이적 결정에 대한 비판과 비난이 쏟아지자 블로그를 잠시 폐쇄하기도 했다.
2. 2. 2. 오미야 아르디자 (2006-2009)
2005년 도쿄 베르디의 J2 강등이 확정된 후, 고바야시는 팀 운영 방식에 불신감을 느껴 2006년 1월 오미야 아르디자로 이적을 결심했다.[2][23] 당시 그는 "함께 싸워왔던 선수들이 해고되거나 팀을 떠나야 하는 상황이 되어, 우리가 팀에 정말 필요한 존재인지 알 수 없게 되었습니다"라며 블로그에 심경을 토로하기도 했다. 이적 발표 후 블로그에 비판적인 글들이 쏟아지자 일시적으로 폐쇄하기도 했다.2006년 시즌 개막 직후, 고바야시는 미드필더로서 골과 어시스트를 연이어 기록하며 팀 공격을 이끄는 핵심 선수로 빠르게 자리매김했다.[2][21] 이러한 활약 덕분에 당시 일본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이었던 이비차 오심의 주목을 받아 처음으로 A대표팀에 발탁되었고, 8월 9일 트리니다드 토바고 축구 국가대표팀과의 경기에서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21] 이후에는 컨디션 문제나 소속팀 사정 등으로 인해 대표팀에 선발되지는 못했다.
2006년과 2007년에는 2년 연속으로 JOMO 올스타 축구에 출전했다.
2009년 1월, 노르웨이 1부 리그 팀인 스타베크로부터 정식 영입 제안을 받았고,[24] 1월 29일부터 팀 훈련에 합류했다.[25] 2월 2일, 스타베크로의 1년간 임대 이적이 공식 발표되었으며,[26] 이로써 고바야시는 일본인 선수 최초로 노르웨이 리그에서 뛰게 되었다. 스타베크에서는 주로 왼쪽 공격형 미드필더 포지션에서 활약했다.[3]
2. 2. 3. 스타베크 (2009, 임대)
2009년 1월, 노르웨이 1부 리그인 엘리테세리엔의 스타베크에서 정식 영입 제의를 받았다.[24] 1월 29일부터 스타베크의 훈련에 참가하였고,[25] 2월 2일 1년간의 임대 이적이 발표되었다.[26][3] 이 이적으로 고바야시 다이고는 일본인 최초의 노르웨이 리그 선수가 되었다.[26] 그는 이전에 베이갈 파울 군나르손이 사용했던 등번호 10번을 받았다.[4]3월 8일, 2009 슈퍼컵에서 발레렌가를 상대로 스타베크 소속 공식 데뷔전을 치렀다. 이 경기에서 스타베크는 3-1로 승리했으며, 고바야시는 프리킥으로 득점하는 등 중요한 역할을 했다.[4] 스타베크에서는 주로 왼쪽 측면의 공격형 미드필더 포지션에서 뛰며 뛰어난 기술을 선보였다.[3] UEFA 챔피언스 리그 예선에서는 FC 코펜하겐과, UEFA 유로파 리그에서는 발렌시아 CF와 같은 강팀들을 상대하는 경험도 쌓았다.
시즌 종료 후, 스타베크는 고바야시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재정난과 그의 높은 연봉 문제로 완전 영입을 포기했다.[5]
2. 2. 4. 이라클리스 테살로니키 (2010-2011)
2010년 1월 27일, 노르웨이 스타베크에서의 임대 기간이 끝난 후 그리스 수페르리가 엘라다의 이라클리스 테살로니키로 이적하였다.[5] 이적료가 발생하지 않는 자유 이적이었으며, 계약 기간은 18개월로 2011년 여름까지였다.같은 해 2월 14일, 파니오니오스 FC와의 리그 경기에서 후반 89분에 교체 투입되어 데뷔전을 치렀다. 시즌 후반기에는 윙어 포지션에서 주전으로 기용되기도 했다. 이라클리스 소속으로 두 시즌 동안 리그 14경기, 리그컵 1경기를 포함하여 총 15경기에 출전했으나 득점을 기록하지는 못했다.
계약 기간이 만료된 후 2011년, J리그의 시미즈 에스펄스로 이적하며 약 2년간의 해외 생활을 마치고 일본으로 복귀하였다.
2. 2. 5. 시미즈 에스펄스 (2011-2012)
2011년, 약 2년간의 해외 선수 생활을 마치고 일본으로 돌아와 시미즈 에스펄스로 이적했다. 이는 3년 만의 일본 복귀였다. 시미즈 구단은 그에게 등번호 10번을 부여하며 주전 선수로 큰 기대를 걸었으나, 지병인 요통 문제로 인해 시즌 초반부터 어려움을 겪었다. 개막전부터 출전하지 못했으며, 복귀 이후에도 주로 교체로 경기에 나섰다. 시즌 중반에는 허리 통증이 더욱 악화되어 완치를 위해 수술을 받았고[27], 남은 시즌을 재활에 쏟게 되었다. 2012년에는 리그 17경기에 출전했다.2. 2. 6. 밴쿠버 화이트캡스 (2013)
2013년 1월, 미국 메이저 리그 사커(MLS)의 밴쿠버 화이트캡스 FC에서 입단 테스트를 받았다.[6][28] 테스트 기간 동안 인상적인 활약을 보여 2013 시즌을 앞두고 정식 계약을 체결했다. 밴쿠버 소속으로 리그 30경기에 출전해 2골을 기록했으나,[29] 시즌 종료 후 계약이 갱신되지 않았고, 2014년 2월 26일 뉴잉글랜드 레볼루션으로 권리가 트레이드되었다.[7][29]2. 2. 7. 뉴잉글랜드 레볼루션 (2014-2017)
밴쿠버 화이트캡스 FC에서 2013 시즌을 보낸 후, 구단은 2014 시즌 계약을 제안하지 않았다. 그의 권리는 2016 MLS 슈퍼드래프트 4라운드 지명권을 대가로 뉴잉글랜드 레볼루션으로 트레이드되었고, 2014년 2월 26일에 공식 입단했다.[7][29]입단 첫 해인 2014년에는 주전으로 활약했으며, MLS컵 결승전에 후반 교체 출전하기도 했다.[30][31] 2015년에도 꾸준히 경기에 나섰으며, 같은 해 말에는 미국 영주권을 취득하여 MLS 로스터 규정상 국내 선수 자격을 얻었다.[8] 2016년과 2017년에도 팀에서 뛰며 각각 리그 1골씩을 기록했다.
뉴잉글랜드 레볼루션에서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연도 | 리그 | 리그 경기 (골) | 기타 경기 (골) | 총 경기 (골) |
---|---|---|---|---|
2014 | MLS | 34 (0) | 2 (0) | 36 (0) |
2015 | 22 (0) | 1 (0) | 23 (0) | |
2016 | 27 (1) | 1 (0) | 28 (1) | |
2017 | 12 (1) | 1 (0) | 13 (1) |
2017 시즌을 끝으로 뉴잉글랜드 레볼루션을 떠나 2018년 3월 라스베이거스 라이츠 FC에 합류했다.[9][32]
2. 2. 8. 라스베이거스 라이츠 FC (2018)
2018년 3월, 미국 USL의 라스베이거스 라이츠 FC에 합류하였다.[9] 이 해에 라스베이거스 라이츠 FC 소속으로 뛰었으며[32], 등번호는 44번이었다.2. 2. 9. 버밍엄 레기온 FC (2019-2021)
2019년 1월, 미국 USL 챔피언십의 버밍엄 레기온 FC와 계약했다.[10] 고바야시는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시즌 동안 버밍엄 레기온 FC 소속으로 뛰었으며[33], 등번호 16번을 달았다. 2021년 시즌을 끝으로 팀을 떠났고, 2022년 현역에서 은퇴했다.2. 3. 은퇴 이후
2022년에 현역에서 은퇴하였다. 2023년에는 파리 생제르맹 아카데미 JAPAN의 테크니컬 디렉터로 취임하였다.[34]3. 국가대표팀 경력
일본 시미즈 상업고등학교 시절부터 유소년 대표팀에 선발되었다. 2002년에는 AFC U-19 축구 선수권 대회에 일본 청소년 대표로 참가하여 준우승을 차지했다. 당시 결승전에서는 대한민국에 1-0으로 패배했다.
2003년에는 아랍에미리트에서 열린 FIFA U-20 월드컵에 출전하여 일본 대표팀의 8강 진출에 기여했다.[11][22] 일본은 8강에서 브라질에게 패배했다. 고바야시는 콜롬비아와의 조별리그 첫 경기에는 출전하지 못했지만, 잉글랜드전을 포함한 다음 두 경기에 선발 출전하여 팀의 조 1위 통과를 도왔다. 이후 대한민국과의 16강전 승리에도 기여했으나, 브라질과의 8강전에서는 경기 초반에 교체되었다.[11]
2006년 오미야 아르디자에서의 활약을 바탕으로 당시 일본 A대표팀 감독이었던 이비차 오심에 의해 처음으로 대표팀에 발탁되었다. 2006년 8월 9일, 도쿄 국립 가스미가오카 육상 경기장에서 열린 트리니다드 토바고와의 기린 챌린지 컵 친선 경기에서 후반 56분 야마세 코지와 교체 투입되어 A매치 데뷔전을 치렀다.[12][13][21] 이 경기는 그의 유일한 A매치 출전 기록으로 남았으며, 이후로는 컨디션이나 소속팀 상황 등의 이유로 대표팀에 소집되지 못했다.
국제 A매치 통산 기록은 1경기 0득점이다.[21]
4. 수상 내역
- 2004년 - 제84회 천황배 우승
- 2009년 - 노르웨이 슈퍼컵 우승
4. 1. 클럽
;도쿄 베르디- '''천황배''': 2004
- '''일본 슈퍼컵''': 2005
;스타베크
- '''노르웨이 슈퍼컵''': 2009
;뉴잉글랜드 레볼루션
- '''MLS 동부 컨퍼런스'''
- * '''우승 (플레이오프)''': 2014
4. 2. 개인
'''클럽'''- 도쿄 베르디
- 천황배: '''우승''' (2004)
- 일본 슈퍼컵: '''우승''' (2005)
- 스타베크
- 노르웨이 슈퍼컵: '''우승''' (2009)
- 뉴잉글랜드 레볼루션
- MLS 동부 컨퍼런스 플레이오프: '''우승''' (2014)
'''국가대표팀'''
- 일본 U-19
- AFC U-19 챔피언십: 준우승 (2002)
'''개인'''
- J리그 올스타 사커 선정: 2006, 2007
5. 기타
2008년, 시즌 중에 24시간 TV 사랑은 지구를 구한다에 출연하여 프로그램 기획인 "세계 기록 공장"에서 'パサール・オ・シルクロ|파사르 오 시르크로일본어'라 불리는 프리킥으로 세계 최장 기록인 29m를 기록했다. 이 기록은 이후 2010년 12월 같은 프로그램에서 당시 산프레체 히로시마 소속이었던 마키노 토모아키가 1m 늘린 30m를 성공시키면서 경신되었다.
참조
[1]
뉴스
Daigo's Diary
http://blog.goo.ne.j[...]
goo blog
[2]
뉴스
Interview with Mike Furtho on Daigo Kobayashi
http://www.japaneses[...]
JapaneseSoccer.net
[3]
뉴스
Here is Stabæk's new number 10
http://www.nettavise[...]
Nettavisen
2009-02-11
[4]
뉴스
Meet our new player at Thursday
http://stabak.no/con[...]
Stabæk Fotball
2009-02-11
[5]
뉴스
Iraklis sign Japanese star
http://www.ontheminu[...]
Ontheminute.com
2010-02-02
[6]
뉴스
Whitecaps: Rennie looks to J1 League for midfield linchpin
https://theprovince.[...]
2013-01-22
[7]
웹사이트
Whitecaps FC deal Daigo Kobayashi's MLS rights to New England Revolution | Vancouver Whitecaps FC
http://www.whitecaps[...]
Whitecapsfc.com
2013-11-28
[8]
웹사이트
Revolution Transfers 2015: Daigo Kobayashi has a Green Card - The Bent Musket
http://www.thebentmu[...]
2015-12-19
[9]
웹사이트
LIGHTS FC Q&A WITH ... MIDFIELDER DAIGO KOBAYASHI
https://www.lasvegas[...]
2018-03-08
[10]
웹사이트
Legion FC Signs Midfielder Daigo Kobayashi
2019-01-21
[11]
웹사이트
FIFA Player Statistics: Daigo KOBAYASHI
https://www.fifa.com[...]
FIFA.com
[12]
문서
Japan National Football Team Database
http://www.jfootball[...]
[13]
뉴스
Japan 2 – 0 Trinidad & Tobago
http://www.wldcup.co[...]
WorldSoccerNews.com
2006-08
[14]
문서
daigo-kobayashi/5589
[15]
뉴스
Kobayashi career stats
http://www.footballd[...]
Football Database.eu
[16]
뉴스
Kobayashi Stabæk stats
http://www.nifs.no/p[...]
NIFS
[17]
문서
daigo-kobayashi
[18]
문서
Includes the [[Emperor's Cup]], [[Norwegian Football Cup]], [[Greek Football Cup]], [[Canadian Championship]], and [[U.S. Open Cup]]
[19]
문서
All appearances in the [[J.League Cup]]
[20]
문서
Daigo Kobayashi
[21]
뉴스
小林 大悟
http://www.jfootball[...]
[22]
웹사이트
FIFA Player Statistics: Daigo KOBAYASHI
http://www.fifa.com/[...]
[23]
문서
同様の理由で主将の[[山田卓也]]も[[セレッソ大阪]]へ移籍した
[24]
웹사이트
大宮・小林大が日本人初ノルウェー移籍へ
https://megalodon.jp[...]
2009-01-28
[25]
웹사이트
小林大悟選手海外クラブへの練習参加のお知らせ
https://megalodon.jp[...]
2009-01-28
[26]
웹사이트
小林 大悟選手期限付移籍のお知らせ
https://megalodon.jp[...]
2009-02-02
[27]
웹사이트
清水小林腰痛手術、全治4カ月今季絶望
https://www.nikkansp[...]
2011-09-22
[28]
웹사이트
小林大悟選手 バンクーバーホワイトキャップス(MLS)へ完全移籍決定のお知らせ
http://www.s-pulse.c[...]
2013-01-24
[29]
웹사이트
小林大悟がNEレヴォリューションへ移籍
http://www.qoly.jp/i[...]
2014-02-27
[30]
문서
チーム最多の34試合出場
[31]
문서
結果は延長戦の末に敗戦
[32]
웹사이트
LIGHTS FC Q&A WITH ... MIDFIELDER DAIGO KOBAYASHI
https://www.lasvegas[...]
Las Vegas Lights FC
2018-03-08
[33]
웹사이트
Birmingham Legion FC Re-Signs Midfielder Daigo Kobayashi
https://www.bhmlegio[...]
Las Vegas Lights FC
2021-03-24
[34]
웹사이트
昨季限りで引退の小林大悟氏はPSG日本アカデミーTDに 将来は世界に選手輩出目指す
https://www.nikkansp[...]
2023-06-02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